RFID(Radio-Frequency IDentification)
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전자태그로 불린다. RFID 기술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, RFID 태그와 RFID 판독기가 필요하다.
RFID 태그 - 안테나와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며,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, 안테나를 통해 판독기에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. 송신된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(=바코드).
RFID와 바코드 시스템 간 차이
- RFID(전파를 이용, 먼 거리에서도 작동, 물체 투과도 가능) - 바코드 시스템(빛을 이용,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)
장점 |
단점 |
반영구적 |
비싼 가격 |
대용량의 메모리 내장 및 이동 중 인식 가능 |
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 |
비접촉 인식 가능(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자동으로 인식 확인 및 집계가 가능하고, 분류, 추적, 발송 등이 가능) |
국가별 주파수가 다름 |
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음 |
전파의 적용 범위가 한정적 |
운영비와 생산비의 축소 |
모든 정보 유출 가능 |
- 위키피디아 : 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RFID
- 나무위키 : https://namu.wiki/w/RFID
RFID 테스트를 직접 해본 후기
- 난생 처음 RFID 테스트를 해보게 되었는데, 기본 구성으로 RFID 리더기와 안테나가 필요하다. 그리고 RFID 리더기를 크로스케이블로 PC와 연결하여 웹에서 태그 결과를 확인해볼 수 있었다.
개인적으로 신기했던 것은 RFID는 스티커만 있는 줄 알았는데, 손목형, 플라스틱형 등 다양한 형태와 크기가 있었다. 그리고 크기에 따라 인식가능한 거리의 차이가 작으면 몇 cm, 길면 수십cm가 차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
그리고 RFID를 공정 내 부착 전에 내구도 테스트도 필요하다.
'직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LC(Programmable Logic Controller) (0) | 2019.01.07 |
---|---|
MES(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) (0) | 2019.01.03 |